본문 바로가기

기와2

★옹기문화 ★옹기문화 간장, 된장, 김치 등을 담는 커다란 독이나 시루는 물론 굴뚝, 촛병, 등잔, 기와, 장군 등으로도 사용된 생활용품 옹기는, 금이 가거나 깨지면 바로 흙으로 돌아가는 자연에 가까운 그릇이다. 옹기가 언제부터 우리 생활 속에 쓰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발효 식품으로 표현되는 우리 음식에 대한 기록으로 옹기의 사용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옹기란「질그릇」과「오지 그릇」을 가리키는 말로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 그릇이다. 질그릇은 진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잿물을 바르지 않은 채 6 백 ~ 7 백 도로 구워낸 것이다. 오지 그릇은 질그릇에 오지 잿물을 발라 1 천 2 백 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반지르르한 그릇이다. 우리가 흔히 김장독과 장독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옹기는 값이 싸.. 2018. 7. 11.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종류 *옹기;질 그릇,-과학적인 저장용기(통풍) .도자기,-현대에서는 흉내조차낼수 없는 영묘한 비색으로 고려청자의 위대한 문화를 알아볼 수 있다. 백자의 원만한 곡선은 완벽한 이 아니 달이차지않는 어눌하면서 무난함을 잘 표현해준다. .기와-흙을 잘이겨 구워서 여러가지 문양을 나타냈고 문화재로써의 가치또한 높다고 하겠다 .초가 집-지혜와 슬기를 엿볼수 있는 방 구들이며,연기를 빠져나가게 하는구조로 (벽과 천장을 황토로 바른)그 시대의 조상들의 생활을 알아볼수 있다. .흙담-황토와 짚을 섞어서 담을 쌓았다 .옥공예품-정교함을 볼 수 있고 건강을 생각한 과학적인 지혜도 보여진다..의복,-요즘에는 거추장 스럽게 여겨지지만 한복의 비례며 우아한 선과 버선의 코가 아무도 따라올 수 없는 곡선의 표현,은은한 색채로 최고라.. 2018.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