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씨상방6

나전칠기 나전칠기의 '나전'은 자개를 뜻하고 '칠기'는 옻칠이 된 기(器)입니다. 즉, 나전칠기는 옻칠 공예의 일부분 입니다. 이러한 나전칠기는 옻칠을 하는 국가(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중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표현기법이라고 보실수 있습니다. 나전칠기의 제작과정을 간단하게 설명을 해 드리자면 백골(소지)에 옻칠을 바르고 건조하는 과정을 여러번 거친 뒤 그 칠 표면 뒤에 자개를 톱으로 오려 화려한 문양을 넣어주고 다시 반복적으로 옻칠을 발라 작업하는 것입니다. 이부분은 네이버 백과사전 보셨듯이 더 자세하게 사진과 함께 나와있으니 이해가 더 빠르실꺼에요~! (거기에 나온것도 과정을 굉장히 단축시켜 나온것 입니다 ㅎㅎ 과정이 복잡하고 섬세하여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나온것 같습니다. ^^) 옻칠공예 자체가 매우 까.. 2018. 7. 11.
★유달리 많았던 정자문화 ★유달리 많았던 정자문화 깎아지른 듯한 절벽 위에,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 옆에, 그리고 수려한 경관이 보이는 곳에는 어디나 그림 같은 정자가 있다. 비록 인공의 구조물이긴 해도 오랜 세월 대자연에 동화되어 시간의 자취가 역력한 채 의연하게 서 있는 정자는 처음 대해도 전혀 낯선 모습이 아니다.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자연경관이 빼어난 우리 나라는 일찍부터 정자문화가 발달해 왔다. 자연을 감상하고, 자연을 닮으려는 정자는 휴식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시인묵객들이 모여들어 한담을 나누며, 시를 짓고 풍류를 즐겼으니 우리 나라 시가문학의 산실로서의 구실도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나와 있는 우리 나라의 누정, 즉 누각과 정자의 수가 무려 885 개나 되었다고 하니, 이로써 정자는 이 땅에 살았던 선인들.. 2018. 7. 11.
★옹기문화 ★옹기문화 간장, 된장, 김치 등을 담는 커다란 독이나 시루는 물론 굴뚝, 촛병, 등잔, 기와, 장군 등으로도 사용된 생활용품 옹기는, 금이 가거나 깨지면 바로 흙으로 돌아가는 자연에 가까운 그릇이다. 옹기가 언제부터 우리 생활 속에 쓰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발효 식품으로 표현되는 우리 음식에 대한 기록으로 옹기의 사용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옹기란「질그릇」과「오지 그릇」을 가리키는 말로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 그릇이다. 질그릇은 진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잿물을 바르지 않은 채 6 백 ~ 7 백 도로 구워낸 것이다. 오지 그릇은 질그릇에 오지 잿물을 발라 1 천 2 백 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반지르르한 그릇이다. 우리가 흔히 김장독과 장독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옹기는 값이 싸.. 2018. 7. 11.
★한국의 도자기 인류가 처음 토기를 만들어 사용한 시기는 대략 일만년전에서 육천년전 경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 시대인 7-8천년 전부터 토기를 만들어 사용 하기 시작 하였다. 초기의 세계는 1,100도씨 이내의 화도에서 번조되는 도기, 석기를 만들어 사용 하였으나 자기를 생산할 수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중국, 베트남 정도 밖에 없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은 그 조형이 독창적이고 양질의 자기를 생산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9세기 전반 신라시대 중국과의 활발한 무역을 통하여 청자 제조 기술을 받아들임으로써 토기 문화권을 벗어나 자기 문화권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그후 통일신라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한 청자는 12세기 고려시대로 접어들어 발전하여 당시 중국에서 "고려청자의 비색은 천하제일" 이라고 할만큼 세계에서 가장 .. 2018. 7. 11.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종류 *옹기;질 그릇,-과학적인 저장용기(통풍) .도자기,-현대에서는 흉내조차낼수 없는 영묘한 비색으로 고려청자의 위대한 문화를 알아볼 수 있다. 백자의 원만한 곡선은 완벽한 이 아니 달이차지않는 어눌하면서 무난함을 잘 표현해준다. .기와-흙을 잘이겨 구워서 여러가지 문양을 나타냈고 문화재로써의 가치또한 높다고 하겠다 .초가 집-지혜와 슬기를 엿볼수 있는 방 구들이며,연기를 빠져나가게 하는구조로 (벽과 천장을 황토로 바른)그 시대의 조상들의 생활을 알아볼수 있다. .흙담-황토와 짚을 섞어서 담을 쌓았다 .옥공예품-정교함을 볼 수 있고 건강을 생각한 과학적인 지혜도 보여진다..의복,-요즘에는 거추장 스럽게 여겨지지만 한복의 비례며 우아한 선과 버선의 코가 아무도 따라올 수 없는 곡선의 표현,은은한 색채로 최고라.. 2018. 7. 11.
우리나라의 전통공예 전통 목공예 기술 우리 조상들은 나무의 자연스런 멋을 살려서 장롱이나 경대등을 만들었어요조선 전기에는 왕실이나 양반등 신분이 높은 사람을 우해 화려하고 멋스러운 가구글 제작했답니다조선후기에는 일반 백성들의 가구를 많이 만들었구요그리고 훌륭한 점은 우리 조상들은 가구를 만들 때 쇠못을 전혀 쓰지 않고 나무와 나무를 끼워맞추었답니다그리고 표면에 옻칠을 하거나 자개와 금속조각으로 아름 답게 꾸몄죠오늘 날에는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전통 목공예 기수을 이어가는 사람을 무형문화 재로 지정하고 있답니다 유기 제작유기장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놋쇠를 다루어 여러가지 물건을 만드는 사람을 이야기해요우리나라는 옛날 부터 유기를 만들어 사용했답니다고려시대에는 얇고 은은한 광택이 나는 아름다운 유기를 만들었답니다이걸 보면 우리나라.. 2018. 7. 11.